분류 전체보기 1066

[부활주일] 부활의 증인 막달라 마리아(눅 08:01~03; 요 20:11~18)

우리나라는 고려시대,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생겨난 남아선호, 남존여비 사상이 현대에게까지 이어져 왔습니다. 그러나 요즘에 와서는 여자를 차별하는 것이 아니라, 남녀를 차별하지 않고 똑같이 대해야 함을 법으로 정해 놓았습니다.헌법 제11조. ①모든 국민은 법 앞에서 평등하다. 누구든지 성별·종교 또는 사회적 신분에 의하여 정치적·경제적·사회적·문화적 생활의 모든 영역에 있어서 차별을 받지 아니한다. 제32조. ④여자의 근로는 특별한 보호를 받으며, 고용·임금 및 근로조건에 있어서 부당한 차별을 받지 아니한다. 이런 법조문을 보면 남아선호 사상이 거의 사라진 것 같습니다.   지금의 환경은 아들을 많이 낳을수록 더 불행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남녀평등 대신 새롭게 등장한 용어가 있습니다. 양성평등이라는 단어입..

[종려주일] 나를 위해 저주를 받으신 예수님(갈 03:13~14)

주후 37년 경 빌라도가 유대 총독으로서 임기를 마감하는 해에 예루살렘의 제사장 가문에 요세푸스(Flavius Joseph,37~100)라는 아이가 태어났습니다. 예수님이 부활 승천하시고, 바울이 예수님을 믿은 지 얼마 안 되던 때였습니다. 세월이 흘러 그는 바울보다 연하였으나 동시대인으로서 유대 역사에 관심을 가지고 창세로부터 그의 시대까지 자세한 역사를 기록하였습니다. 유대 역사에서 볼 때 아주 귀중한 자료를 남긴 사람입니다. 그런데 이 사람은 기독교인이 아니었습니다. 지나고 보니 오히려 기독교인이 아니었기에 그의 기록들은 더욱 역사적이고 객관성을 가진 자료로 인정을 받았습니다. 이 요세푸스가 저술한 유대고대사는 지금도 권위 있는 역사서로 인정을 받습니다. 그 책 18권과 20권에서 예수님에 대한 내..

신령한 동거가 최고입니다(시 133:01~03).

오늘 말씀의 표제를 보면 다윗의 시, 성전에 올라가는 노래라는 제목이 붙어 있습니다. 제가 처음 이 노래를 살펴볼 때 몇 편이라고 말씀드렸습니까?120편부터 134편까지 15편입니다. 그런데 이 노래는 132편(18절)을 제외하면 대부분 짧은 구절로 되어 있습니다. 03절에서 08절 사이입니다.성전에 올라갈 때 부르는 노래이니 이는 이스라엘 남자들이 1년에 세 번 무교절 칠칠절 초막절(신 16:16) 때 성전에 올라가면서 불렀음을 알 수 있습니다. 오늘 살펴보는 133편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 시를 지은 배경을 살펴보아야 합니다.  다윗은 골리앗을 이기고 난 후부터 사울 왕이 다윗을 시기하여 죽이려 함으로 10여 년의 세월을 도망자요 방랑자로 살았습니다. 이런 과정에서 하나님께서 사울 왕을 버리심..

나는 새벽이슬 같은 청년입니다(시 110:01~03).

한 시대마다 등장하는 키워드가 있습니다. 당시 사회의 모습을 어느 정도 유추해 볼 수 있는 용어로서 요즘 키워드는 단연코 금수저입니다. 언론이나 인터넷에서 신조어로 등장한 수저 이야기를 그냥 웃어넘길 일은 아닌 것 같습니다. 일명 수저 계급론이라 할 수 있는데 이는 부모님의​ 재력을 나타내는 말로 쓰이고 있습니다. 이 수저론의 기준표를 인터넷 검색창에서 찾아보았더니 이렇게 나와 있습니다.다이아수저. 자산 30억 이상에다 가구당 연 수입 3억 원 이상 상위 0.1%, 금수저. 자산 20억 이상, 가구 연 수입 2억 원 이상 상위 1%, 은수저. 자산 10억 이상, 가구 연 수입 8천만 이상 상위 3%(5%), 동수저 자산 5억 이상, 가구 연 수입 5천 5백만 원 이상 상위 7.5%(10%), 흙수저.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