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이야기/푸얼차(普洱茶)

푸얼차의 이름은 어떻게 붙이나?

복을받는 교회와 나 2008. 2. 4. 22:17
728x90

처음 푸얼차를 접하시는 분들은 푸얼차가 다 같은 즉 한가지 종류만 있는 것이 아니라는데 놀랍니다. 상품으로서의 푸얼차의 종류는 수백가지도 넘습니다. 그러다보니 낯설고 생소한 이름에 헤매이시기도 합니다. 그렇다고 푸얼차의 이름이 마냥 어렵기만 한 것은 아닙니다. 몇가지 규칙을 알면 그 대강은 짐작할 수 있게 됩니다.


① 먼저 생차(生茶)인지 숙차(熟茶)인지에 따라 붙는 이름이 달라집니다.

생차인 경우 생 또는 생차라는 말이 붙습니다. 때로 생차의 생과 동일한 의미로 청(靑)자를 붙입니다. 숙차인 경우는 숙 또는 숙차라는 말을 붙입니다.

 

② 푸얼차의 모양새에 따라 그 이름을 달리 붙입니다.

병차(원차)일 경우 병(餠)을, 타차일 경우 타(물이름 타)를, 전차일 경우 전(벽돌 전)을, 산차일 경우 산(散)을 붙입니다. 완전히 네모난 방차의 경우 방(方)자를 붙입니다. 그 중에서 종류가 많은 병차류를 중심으로 계속 말씀드리면, 

③ 병차 포장지 앞면의 한 가운데 茶자의 색이 어떠냐에 따라 차의 이름을 달리 붙입니다. 푸얼병차의 포장지에는 대부분 가운데 한자로 茶자가 쓰여 있습니다. 그리고 그 둘레에는 8개의 中자가 원을 이루고 있습니다. 이때 가운데 茶자의 색이 어떠냐에 따라 차의 이름이 달라집니다. 붉은 색이면 홍인(紅印)이라 하고 녹색이면 녹인 또는 남인(藍印)이라 하며 노란색이면 황인이라 합니다.

이 색은 차엽의 산지에 따라 달라진다고 하지만 꼭 그렇지는 않으므로 그냥 차의 구분 가운데 하나로 보시면 됩니다. (1980년대 이후의 차들은 내용상 홍인, 녹인, 황인의 구분이 없습니다. 겉포장지의 茶자의 색이 어떠하든간에 번호급 시기의 녹인과 큰 구분이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④ 푸얼병차는 대개 손으로 만드는데, 차의 틀을 쇠로 고정시킨 다음 거기에 차를 넣어 단단하게 굳힌 것은 특별히 철병(鐵餠)이라 부릅니다. 그러므로 철병차와 일반 병차는 차병의 가장자리가 확연하게 구분됩니다. 철병차는 가장자리가 중심부와 두께 차이가 심하지 않고 단단하며 완전한 원이지만 일반 병차는 가장자리가 훨씬 얇고 덜 단단하며 불완전한 원이기 때문입니다. 

⑤ 포장지 가운데 쓰인 茶자가 크면 대자(大字)라 부르고 작으면 소자라 부릅니다. 거기다가 별도로 다른 특징 있는 글자가 인쇄되거나 도장으로 찍혀 있으면, 그 글자의 이름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⑥ 포장지에 쓰인 글자가 중국식 간체자(間體字)로 되어 있으면, 간체자라는 명칭을 별도로 붙이고, 중차패(中茶牌)라는 글이 있으면 중차패라고 부릅니다.

 

⑦ 차창에서 명기한 차의 이름이 있을 경우, 그 이름으로 부르는데, 대개 그 이름은 네 자의 숫자인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그 숫자가 '7432'라고 하면, 흔히 74를 생산개시년도를 가리키는 것으로 오해하기 쉬운데, 그렇지는 않습니다. 예를 들어 '7532'는 75년에 만든 것이 아니라, 70년대 후반부터 만든 차이고, 7572병차는 70년대 초기부터 생산된 차입니다.

 

⑧ 같은 이름으로 불릴 수밖에 없는 차가 계속 생산되었을 경우, 조기(早期)와 후기(後期)로 나누어 부르기도 합니다.

 

⑨ 같은 이름의 차라고 할지라도 그 차의 종류가 조금 다르거나 특별하게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 생산자는 이런저런 표시를 하는데, 대표적인 방법 가운데 하나가 포장지를 두꺼운 것으로 하느냐 얇은 것으로 하느냐 하는 것입니다. 이때 두꺼운 포장지의 차는 후지(厚紙), 얇은 것은 '박지'(薄紙)라고 구분합니다.

 

⑩ 이 외에 특정 브랜드 명이 있을 경우 그 이름으로 불러줍니다. 1990년대 중반 이후의 차들은 특정 브랜드 명을 가지고 있는 차들이 꽤 많습니다.

  이 외에 기타 약간의 규칙들이 더 있지만, 아주 일반적인 것은 아니어서 차들의 이름을 하나하나 보면서 익히시면 됩니다. 그럼 우리에게 친숙한 차들의 이름을 살펴보면서 복습해 볼까요? ^^ 

ⓐ 원미소타 : '원미'라는 특정 이름에 작은 크기의 타차라는 의미로 '소타'라고 합니다.

 

ⓑ 진년노산차 : 진기가 오래 되었다는 의미의 진년(陳年)에 역시 오래되었다는 의미의 노(老) 그리고 형태를 나타내는 산차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 교목대엽노산차 : 차엽의 정보를 일러주고 있습니다. 교목대엽종의 잎으로 만들었다는 의미입니다.

 

ⓓ 하관청전 : 하관차창에서 생산된(하관) 생차 기법의(청) 전차 모양(전)의 차라는 뜻입니다.

 

ⓔ 하관숙타 : 하관차창에서 생산된(하관) 숙차 기법의(숙), 타차 모양(타)의 차라는 뜻입니다.

 

ⓕ 7572숙병 : 7572라는 대표적 번호급 푸얼차이며, 숙차인 병차라는 의미입니다.

 

ⓖ 포랑산청병 : 차엽의 산지 중 포랑산이라는 지역에서 생산된 잎으로 만든 생차(청)이며 병차(병)라는 뜻입니다.

 

ⓗ 95년 8582 : 8582류의 차 중에서 95년에 생산된 차라는 뜻입니다. 대개의 번호급 차들은 그 생산횟수가 매우 많기 때문에 최소한 연도로 구분해 줄 필요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93년 7542가 또한 그렇습니다.

 

ⓘ 춘첨청병 : 춘첨(春尖(뾰족할 첨))이란 이른 봄에 딴 어린 잎을 말합니다. 따라서 춘첨청병이란 이름은 어린 잎(춘첨)으로 만든 생차(청)이며 병차라는 뜻입니다.

 

ⓙ 하관철병 : 하관차창에서 철병의 형태로 만든 차란 의미입니다.

 

ⓚ 번체자철병 : 이전에 나왔던 간체자가 쓰여져 있던 차와 구분하는 의미에서 번체자라는 상대적인 이름을 붙였습니다.

  이 정도면 푸얼차의 이름을 붙이는 대강의 이해는 되셨을 거라 믿습니다. 최근에는 각 차창마다 저마다의 이름을 붙이고 나오는 차들이 많아 이름을 듣고 그 내용을 짐작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래도 여기 나와 있는 어느 정도의 원칙에 따라 차를 가늠해 본다면 푸얼차를 구분할만한 최소한의 기초는 갖출 수 있을 것으로 봅니다.